java/spring
[Spring] S3 Pre-Signed URL 생성
기본 세팅 먼저 S3 버킷에 대한 퍼블릭 엑세스 설정이 필요하다. 해당 글을 참고하자. 2022.07.25 - [aws] - [AWS] S3 버킷 퍼블릭 엑세스 설정 [AWS] S3 버킷 퍼블릭 엑세스 설정 AWS S3 버킷을 퍼블릭하게 열어두고 사용할 때가 많다. 이번에는 S3 퍼블릭 엑세스에 대한 기본 세팅을 설명한다. 퍼블릭 엑세스 차단 기본적으로 아무 설정 없이 버킷을 생성하면 모든 퍼블릭 엑 gksdudrb922.tistory.com 또한, Spring Boot에서 S3 설정 및 접근에 대한 인증 키를 입력해야 한다. 해당 글을 참고하자. 2022.07.25 - [java/spring] - [Spring] AWS S3 접근 [Spring] AWS S3 접근 라이브러리 추가 implementati..
[Spring] @Value, static 변수에 사용하기
spring이 제공하는 @Value은 application.yml 등과 결합하여 변수를 상수처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애노테이션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applicatio.yml example: name: Han age: 26 // Example.java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example") public class Example { @Value("${example.name}") String name; @Value("${example.age}") String age; @GetMapping public String example() { return "Name: " + name + ", Age: " + age; } } // localhos..
![[Spring] Spring Security + Swagger 3.0 적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2HHz%2FbtrHUCjm1Sh%2FD8sUgz6AKU22krczxUClS1%2Fimg.png)
[Spring] Spring Security + Swagger 3.0 적용
Swagger는 REST API의 문서화, 테스트를 용이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Spring에 Swagger를 적용하는 과정은 이전 글에서 다루었다. 2022.07.16 - [java/spring] - [Spring] Swagger 3.0 적용 [Spring] Swagger 3.0 적용 Swagger는 REST API의 문서화, 테스트를 용이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나같은 경우는 백엔드 개발을 하면서 API들을 직접 문서화시켜서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하곤 했는데, Swagger를 사용하면 개발 gksdudrb922.tistory.com 이번에는 Spring Security가 적용되어 있는 프로젝트에서 Swagger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자. SwaggerConfig 이전에 만들었던 Sw..
![[Spring] Swagger 3.0 적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1L7gh%2FbtrHqnUbIQZ%2FBLPwV31gKJekIiJ2kynsuK%2Fimg.png)
[Spring] Swagger 3.0 적용
Swagger는 REST API의 문서화, 테스트를 용이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나같은 경우는 백엔드 개발을 하면서 API들을 직접 문서화시켜서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하곤 했는데, Swagger를 사용하면 개발과 동시에 자동으로 문서화를 시켜주기 때문에 요즘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도구이다. 특히, Spring에서는 애노테이션을 통해 더 편리하게 Swagger를 사용할 수 있는데, 지금부터 해당 방법을 소개한다. 라이브러리 추가 먼저 Swagger 사용을 위해 구현체인 springfox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io.springfox:springfox-boot-starter:3.0.0' } SwaggerConfig Swagger를 위한 설정 ..
![[Spring] Spring Security + JWT 토큰을 통한 로그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jaz44%2FbtrHpn1w3iq%2F1axELvordLWoGrfDLEK1E1%2Fimg.png)
[Spring] Spring Security + JWT 토큰을 통한 로그인
JWT JWT(Json Web Token)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통신 시 권한 인가(Authorization)을 위해 사용하는 토큰이다. 현재 앱개발을 위해 REST API를 사용 중인데, 웹 상에서 Form을 통해 로그인하는 것이 아닌, API 접근을 위해 프론트엔드에게 인증 토큰을 발급하고 싶을 때, 적절한 인증 수단이라고 생각해서 이를 Spring Security와 함께 적용해보려 한다. Spring Security + JWT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기본 동작 원리는 간단하다. 1. 클라이언트에서 ID/PW를 통해 로그인을 요청하면 2. 서버에서 DB에 해당 ID/PW를 가진 User가 있다면,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발급해준다. 3. 클라이언트는 발급받은 A..
[Spring] Controller에서 pathvariable로 path(/aaa/bbb) 값 받는 법
API에서 Pathvariable은 자주 쓰인다. GET: /user/1 -> 여기서 '1'을 pathvariable로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만약, path 형태의 값을 pathvariable로 가져오고 싶다면? GET: /user/home/server/list -> 여기서 'home/server/list'를 pathvariable로 가져오고 싶지만, spring에서는 /user/home/server/list 라는 경로에 해당하는 컨트롤러를 찾을 뿐이다. 따라서, 다른 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GetMapping("/user/**") public String getPath(HttpServletRequest request) { return request.getRequestURI().split(re..
![[Spring] AWS Parameter Store를 사용해 변수 불러오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MHyBK%2Fbtrp7R5FnH0%2FTe6TCscJNJ858v9fJj6d5K%2Fimg.png)
[Spring] AWS Parameter Store를 사용해 변수 불러오기
깃허브와 같은 원격 저장소에 프로젝트를 올리는 경우 코드에 데이터베이스 암호 등 민감한 정보가 담기면 위험하다. 따라서 민감한 정보가 담긴 변수를 암호화하거나, 다른 공간에 저장해놓고 불러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AWS Parameter Store에 변수를 저장하고, 이를 Spring에서 불러오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AWS 설정 Parameter Store에 변수 저장 AWS 관리 콘솔에서 System Manager -> Parameter Store를 클릭한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파라미터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원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파라미터 이름은 /aaa/bbb/password로 3계층으로 생성했다. 이 형식을 꼭 지킬 필요는 없지만, 꼭 다르게 이름을 설정해야..
![[Spring] 개발, 운영 환경 별 profile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NH0vY%2Fbtrp6dIBI2s%2FUh7SQle5uIbsrHiQFQITr0%2Fimg.png)
[Spring] 개발, 운영 환경 별 profile 설정
환경에 따라 다른 설정 개발을 하다보면 테스트를 위한 '개발' 환경과 실제 서비스 배포를 위한 '운영' 환경에 따라 설정해줘야하는 값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DB 정보나 포트 정보 등이 환경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다. 각 환경에 따라 매번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profile 설정을 통해 간단하게 환경에 맞는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스프링 설정 파일 (application.yml)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ohost:3306/test # 테스트 DB # url: jdbc:mysql://localohost:3306/prod # 운영 DB username: admin password: 1234 dri..